728x90 반응형 전체 글21 퇴사 통보는 언제까지 해야할까? 임직원의 잦은 퇴사는 어느 회사나 고민거리인데요. 갑자기 이직한다고 퇴사 통보를 하는 직원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직원의 입장에서 퇴사 통보는 언제까지 해야하고, 또 회사는 이를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 1. 직원의 퇴사 통보와 민법상 의무근로기준법에는 사직 시 사전 통지 의무 기간에 대한 규정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럴 때는 민법 제660조 제2항을 적용하게 됩니다:민법 제660조 제2항: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고용은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으며, 해지한 날로부터 1개월이 경과하면 종료된다. 즉,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계약(무기계약)의 경우, 근로자는 사직 의사를 밝힌 후 1개월 후에 퇴직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보다 짧은 기간(예: 2주)만 근무하고 퇴사하는 경우가 많고, 법.. 2025. 4. 4. 안전보건관리책임자 vs 관리감독자 이전 포스팅에서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해야하는지, 우리회사에 꼭 필요한지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만약 꼭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해야겠죠? 그러면 인터넷을 통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교육을 알아보게 될텐데요. 교육 안내사이트들에서 보면 안전보건관련해서 다양한 교육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중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담당자 등 다양한 직책이 있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 안전보건관리책임자와 관리감독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와 관리감독자는 모두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지정되는 안전보건 관련 직책이지만, 그 역할과 책임 범위가 다릅니다. 주요 차이점을 정리해 드릴게요.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vs 관리감독자 비교표 2. 쉽게 이해하는 차이점안전보건관리책임.. 2025. 3. 27. 우리회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꼭 필요한가? 선임 대상 및 요건은? 외형이 큰 회사 또는 제조, 건설업 등 업무상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회사들에서는 안전이 매우 중요하기에 안전환경팀, 환경안전팀, 안전보건팀 등 다양한 명칭으로 안전을 전담하는 부서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또는 대부분의 회사들에서는 경영지원부서 또는 총무부서에서 안전을 함께 담당하고 있을텐데요. 우리회사에 안전 관련 책임자가 꼭 필요한건지? 어느 회사에 책임자가 필요한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 요건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서 반드시 선임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선임 요건은 사업장의 규모와 업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선임 대상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의 대표자, 경영책임자 또는 이.. 2025. 3. 27. 세무조정, 세무대리인 꼭 대행을 맡겨야 할까? '24년 법인세 신고기한이 끝나갑니다. 세무담당자 분들은 법인세 신고 막바지에 있으실텐데요. 오늘은 세무조정 꼭 세무대리인에게 맡겨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적으로, 꼭 세무대리인을 통해서 법인세 신고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 근데 또 필수로 맡겨야 하는 곳들도 있어요. 그러한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법인 대표자나 내부 직원이 직접 신고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판단하시면 좋아요.✅ 직접 신고할 수 있는 경우법인 규모가 작고거래가 단순하며회계자료가 정리되어 있고법인세 관련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 경우👉 홈택스에서 전자신고 가능👉 국세청이 제공하는 모의신고 시스템이나 간편신고 도움 서비스도 활용 가능❗ 세무대리인을 쓰는 게 좋은 경우거래가 복잡하.. 2025. 3. 27. 공동대표 vs 각자대표 무엇이 다른가? 어떤 회사들을 보면 대표가 2명 이상인 회사들이 있습니다. 그럴 경우, 우리는 그냥 대표가 둘이구나, 공동대표체제인가 보다 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회사들에서 각자대표체제를 활용하고 있고, 공동대표와 각자대표 체제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공동대표와 각자대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동대표(Co-CEO)와 각자대표(Sole CEO)의 차이점기업의 대표이사 체제는 크게 공동대표(Co-CEO, Joint CEO) 와 각자대표(Sole CEO, Individual CEO) 로 나뉩니다. 두 체제는 권한 분배 방식과 의사결정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 공동대표(Co-CEO, Joint CEO)✅ 두 명 이상의 대표이사가 공동으로 회사 운영✅ 중요한 의사결정을 함께 진행해.. 2025. 3. 5. 미국 회사와 계약할 때 날인 방법 회사에서 총무팀이나 법무팀, 또는 어느 부서에서 일을 하던지 계약이라는 것을 하게 될 때까 있는데요. 그럼 당사자들간에 계약서를 검토하게 되고, 최종 합의에 이르면 계약서 날인을 하게 됩니다. 외국, 특히 미국회사와 계약을 할 때는 뭔가 다른 점이 있을까요? 계약서 날인 방식이 우리나라와 좀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계약서 작성시 양 당사자간에 계약서 2부를 작성하여 날인하고 간인도 하는데, 미국 법인회사는 그 방식에 있어서 좀 다릅니다.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미국 계약서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회사의 계약서 작성 및 서명 방식은 한국과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미국 계약서의 일반적인 서명 방식미국에서는 계약서에 당사자의 서명.. 2025. 3. 5.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