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법무

미국 회사와 계약할 때 날인 방법

by COO / CFO / CHRO 2025. 3. 5.
728x90
반응형

 

회사에서 총무팀이나 법무팀, 또는 어느 부서에서 일을 하던지 계약이라는 것을 하게 될 때까 있는데요.

 

그럼 당사자들간에 계약서를 검토하게 되고, 최종 합의에 이르면 계약서 날인을 하게 됩니다.

 

외국, 특히 미국회사와 계약을 할 때는 뭔가 다른 점이 있을까요?

 

계약서 날인 방식이 우리나라와 좀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계약서 작성시 양 당사자간에 계약서 2부를 작성하여 날인하고 간인도 하는데,

 

미국 법인회사는 그 방식에 있어서 좀 다릅니다.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미국 계약서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회사의 계약서 작성 및 서명 방식은 한국과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계약서의 일반적인 서명 방식

  • 미국에서는 계약서에 당사자의 서명(Signature) 만 있으면 법적 효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날인(Seal) 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며, 법인도 단순한 서명만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법인 인감(Company Seal) 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2. 간인(Initialing) 을 하지 않는 이유

  • 한국에서는 계약서의 수정 방지 및 전체 계약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간인을 합니다.
  •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계약서가 수정될 경우 레드라인(redline) 또는 부속 합의서(amendment, addendum) 를 통해 변경 사항을 명확하게 기록하고, 계약서 최종본만 서명합니다.
  • 간인을 요구하는 문화가 없고, 서명된 계약서 자체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별도로 간인을 하지 않습니다.

3. 계약서 원본의 개수

  • 한국에서는 "계약서 2부를 작성하여 각 당사자가 1부씩 보관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 미국에서는 1부를 작성하고, PDF 또는 전자 계약 시스템(예: DocuSign, Adobe Sign)을 활용하여 각 당사자가 보관하는 방식이 보편적입니다.
  • 전자 서명(Electronic Signature) 이 법적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아 물리적인 계약서 작성이 필요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4. 미국 계약의 특징적인 요소

  • Notary Public(공증인) 인증: 특정 계약(부동산 거래 등)은 공증인 인증이 필요할 수도 있음.
  • Execution in Counterparts(별도 서명 가능 조항): 계약서 조항에 "서명본은 별도로 서명될 수 있으며, 각 서명본이 하나의 계약으로 간주된다"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음.
  • Governing Law(준거법 조항): 계약이 미국 여러 주(state)에서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주(state)의 법이 적용된다는 조항이 자주 포함됨.

결론

  • 미국에서는 계약서에 대표자 서명만으로 계약이 성립되며, 간인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계약서 원본을 여러 부 작성하지 않고, PDF 또는 전자 서명 방식이 널리 사용됩니다.
  • 변경이 필요한 경우, 간인 대신 공식적인 수정 문서(amendment)를 사용합니다.

 

미국 회사는 일반적으로 법인 인감 도장(Company Seal, Corporate Seal) 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부 회사는 선택적으로 법인 인감을 보유할 수도 있습니다.

1. 미국 회사의 법인 인감(Corporate Seal) 개념

  • 과거에는 미국에서도 법인 인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계약에서 법인 인감 없이도 서명만으로 법적 효력이 발생합니다.
  • 일부 전통적인 기업이나 특정 주(州)에서는 여전히 Corporate Seal 을 보유하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 디지털 계약(DocuSign, Adobe Sign 등)이 보편화되면서 법인 인감의 사용 빈도는 더욱 줄어들고 있습니다.

2. 법인 인감이 필요한 경우

미국에서 법인 인감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 업무: 일부 은행에서는 법인 계좌 개설 시 법인 인감이 필요할 수 있음.
  • 특정 주(State) 법률 요구: 일부 주(예: 뉴욕, 캘리포니아)에서는 특정 문서(부동산 관련 서류 등)에 인감이 요구될 수도 있음.
  • 회사 내부 규정: 일부 기업은 내부 정책으로 법인 인감을 사용할 수도 있음.

3. 미국 회사의 일반적인 계약 서명 방식

  • 대표이사의 자필 서명(Signature) 또는 전자 서명(E-Signature) 만으로 계약이 성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법인 인감 없이도 계약이 유효하며, 개인의 서명만으로도 법적 효력이 인정됩니다.
  • 법인이 계약을 체결할 때 "By: [서명] / Name: [서명자 이름] / Title: [직위]" 형식으로 서명합니다.

예시 

         By:  [John Doe] ← 서명    
         Name:  John Doe  
         Title:  CEO  

 

4. 결론

미국 회사는 일반적으로 법인 인감을 사용하지 않으며, 계약 체결 시 서명만으로 법적 효력이 발생합니다.
일부 회사는 선택적으로 Corporate Seal을 보유할 수 있지만,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전자 서명(예: DocuSign, Adobe Sign)이 널리 사용되면서 법인 인감의 필요성이 더욱 줄어들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